본문 바로가기

서브페이지 배너

공간조성 기록

의성성냥공장 리모델링 제안공모 당선작
성냥공장 문화재생사업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3-11-08
수정일
2023-11-14
조회수
491
조감도 : 의성성냥공장 몽타주와 도큐멘타
조감도 : 의성성냥공장 몽타주와 도큐멘타
평면도 : 과거를 기록하는 소멸정원과 현재의 활동을 지원하는 생성마당
평면도 : 과거를 기록하는 소멸정원과 현재의 활동을 지원하는 생성마당
배치도 : 몽타주적 공간과 도큐멘타의 경험
배치도 : 몽타주적 공간과 도큐멘타의 경험
아이소메트릭 : 집합적 질서와 지붕틀(트러스) 구조가 만들어내는 공간
아이소메트릭 : 집합적 질서와 지붕틀(트러스) 구조가 만들어내는 공간
조감도 : 의성성냥공장 몽타주와 도큐멘타
평면도 : 과거를 기록하는 소멸정원과 현재의 활동을 지원하는 생성마당
배치도 : 몽타주적 공간과 도큐멘타의 경험
아이소메트릭 : 집합적 질서와 지붕틀(트러스) 구조가 만들어내는 공간

내용

작품설명 상세(주요)

<계획의 목표와 계획의 기본방향>
- 의성성냥공장 몽타주와 도큐멘타
리노베이션은 완벽한 결정을 동반한 완성 중심의 결과론적 건축이 아닌 유연하게 진행되어야 하는 과정 중심의 진화하는 몽타주적 건축이 되어야 한다.
멈춰진 기계와 오래된 남겨진 건축물의 풍경이 연출하는 감상적 공간이 아니라, 미래에 생기있게 생성될 문화를 담을 총체적 환경으로써 작동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박제를 통한 관조의 대상으로 전락하지 않길 바라며, 산업유산에 대한 존경이 숭배가 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기에 보존된 기계들은 전시관의 케이스에 모셔지기보다 원래 작동되던 위치에서 놓여져 새로운 공간과 프로그램에 자연스럽게 동화되도록 하며, 그 작동법과 생산과정들을 설명하고 보여주는 기록물이자 (가급적이면) 실재 작동되도록 하여, 산업적 생산품이 아닌 도큐멘타적 제품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길 기대한다. 내부 뮤지엄에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외부 중정에는 경사로를 따라 마주하게 되는 작은 선큰공간이 있다. 이 작은 전시 공간에는 옛 의성성냥공장의 기록물들이 전시되기도 하며, 소멸된 근대적 산업에 대한 기록물들이 전시되기도 한다. 간혹 개발의 논리에 사라진 대 한민국 근대건축물들이 소멸 위기의 지방 소도시 의성에서 기획전시되는 미래를 꿈꾼다. 과거의 박제가 아닌, 과거를 기억하고, 기록하는 공간으로 살아있는 과거와 작동하는 과거를 공간화하기 위해서 건축이 개입하여 역할하고자 한다.

360도

가상체험

사이버 공간

미리 경험해보는
온라인 가상체험

의성성냥공장 내부의 모습을 체험하 실 수 있습니다.
의성성냥공장 주변의 역사가 숨쉬는 현장을 로드뷰를 통해 직 간접적으로 체험하실 수 있습니다.
드론을 통해 직접 촬영한 항공사진으로 의성성냥공장의 이모저모를 다양한 각도로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